본문 바로가기

조우4

사나이 / 양성이씨 사나이는 [산 + 아해]로 남자아이를 뜻하는 말이었으나, 지금은 건강한 남자를 뜻한다. 양성이씨의 시조 이수광의 증손이자 충렬왕의 사위인 이영주는 밀직사사와 상장군 등을 역임했다.그의 아들 이수방은 벼슬과 함께 "나해(那海)"라는 이름을 받았고, 이수방의 네 아들 모두 시중과 상서를 지냈다.사람들이 “나해같이 됐으면” 하는 뜻에서 "사나해(似那海)"라고 한 것이 "사나이(대장부)"란 말의 기원이 되었다고 한다.중조 신혁 할아버지가 밀직부사와 상장군을 지냈을 때도 충렬왕 때이다.밀직사가 왕의 비서실과 왕명을 받아 군사에 대한 고문과 지휘를 맡던 곳이므로,밀직사사/상장군을 지낸 이영주는 신혁 할아버지와 알고 지내지 않았을까? 그런 연유일까?조우 할아버지의 배우자(3세조 할머니)는양성이씨 공주목사 이조의 따님.. 2025. 4. 19.
여산현감 조우 고려에서 조선으로 시대가 바뀌었다. 명나라와 조선은요동과 만주 지역에 대한 영향력을조금이라도 더 넓히려 신경전을 벌이고 있었는데,이로인해 명태조 홍무제가조선태조 이성계에게 왕자를 사신으로 보내라고 하였고,태종(정안군) 이방원이 사신으로 명나라에 가게 된다.이 때, 태종은 당시 연왕이었던 영락제를 만나게 되었고,영락제는 태종에게 좋은 인상을 가졌을 것으로 보인다. 정난의 변을 일으켜, 조카인 건문제를 쫓아내고 황제가 된 영락제는,왕자의 난으로 왕이 된 태종에게,자녀들끼리의 혼사를 제안한다. 태종은 명나라와 사돈을 맺는 것이 싫었나보다.딸은 급하게 시집을 보내고,아들은 결혼을 했다고 거짓으로 명나라 사신에게 말하였다. 그러자 영락제는, 조선에서 미녀를 선발하여,공녀로 데려간다. 1등 : 권집중의 딸 18세 .. 2025. 4. 16.
고려말 왜구의 침략과 할아버지들(3부작 3편, 왜구 정벌) ```````````````````````````````````````````````````````````````````````````````사실이 아닌, 역사의 짜집기로 꾸며낸 이야기입니다. (절대 고증이라는 개념은 없음, wiki의 내용을 주로 참고하였음)풍양조씨 평장사공파 3세 군기시 부정 휘 우 할아버지에 대해 공부하며 쓴 글입니다.````````````````````````````````````````````````````````````````````````````````군기시는육조 가운데 국방을 담당하는 병조에 속한 조직으로,군대에 필요한 물품을 제조하는 임무를 맡고 있다. 군기감에서 원나라 간섭기에 민부로 합쳐졌다가,공민왕 때 군기시로 다시 분리되었고,군기감/군기시 이름이 왔다갔다 하였다.내.. 2025. 4. 13.
(3세조) 조봉대부 조우 三世 子 珏 入朝鮮 朝奉大夫 軍器寺副正 ○陽城謄作知縣事○ 墓在抱川 今失不傳 配 陽城 李氏 父 公州牧使操密直司事 英柱 玄孫 ○三子 (AI 해석)三世: 3세손 (3대째 인물)子 珏(규): 이름이 '규(珏)'인 인물 (珏은 옥이 두 개 합쳐진 모양의 한자)入朝鮮 朝奉大夫 軍器寺副正: 조선에 입조(벼슬)하여 조봉대부 군기시 부정을 지냄→ 조봉대부는 조선시대 당상관의 품계, 군기시 부정은 무기 관련 업무를 담당하는 벼슬○陽城謄作知縣事○: 양성(陽城)에서 등작지현사(謄作知縣事)를 지냄→ 등작(謄作)은 문서 작성 관련 업무, 지현사(知縣事)는 고을의 행정관墓在抱川 今失不傳: 무덤은 포천에 있었으나 지금은 실전(失傳)됨→ 무덤의 위치가 현재는 전해지지 않음配 陽城 李氏 父 公州牧使操密直司事: 부인은 .. 2025. 4.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