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풍양조씨 평장사공파

洪武十年 辛禑時 (홍무십년 신우시)

by 구엽하늘 2025. 4. 3.
728x90

홍무십년 신우시 7월에,

2세조 조천옥 할아버지가

왜구의 노략질을 막으시다가 돌아가셨다.

 

홍무십년 신우시가 무슨 뜻일까?

홍무는 명나라 태조 홍무제의 연호이다.

홍무제가 황제가 된 지, 10년째라는 얘기다.

동아시아 패권국의 황제의 연호로 기록을 해둬야,

다른 나라들과의 역사비교가 되지 않겠는가.

 

신우시는 우왕을 폄훼하여 나타낸 말이다.

홍무십년은 우왕3년인데,

우왕을 신우왕이라 일컫고 있다.

 

잠시 중국 춘추전국시대로 가보자.


[영성 조씨]

 

영성 조씨 한 집안에 두 형제가 있었다.

장남이 하나의 나라를 이루어 진나라가 되고,

차남이 하나의 나라를 이루어 조나라가 되었다.

 

중국에서의 성씨는

성은 동네(모계 중심의 개념)를 뜻한다.

씨는 부족(부계 중심의 개념)을 뜻한다.

 

중국과 한국은 그 개념에 차이가 있어 보인다.

 

내가 아는 성씨는 부계 중심의 부족이다.

조씨를 조가라고 얘기하듯이,

한 집안(부족)을 얘기한다.

 

중국의 성에 해당하는 것이 본관으로 보인다.

풍양이 이에 해당할 것이다.


[ 진시황 조정 ]

 

진시황의 이름은 조정으로,

아빠가 진나라 장양왕 조이인이다.

 

당시 조나라가 강성하여,

진나라의 세자가 조나라에서 볼모로 지내고 있었는데,

상인이었던 여불위가 자신의 애첩을 조이인과 결혼시키고,

뒤에 애첩의 이름을 조희라 불렀다.

 

조이인과 조희 사이에서 태어난 진시황 조정은

혼란했던 춘추전국시대를 끝내고,

진나라를 중국의 통일국가로 만들지만,

초나라에 멸망하고 만다.


[ 진시황 여정 ]

 

초한대전에서 "장이야"를 외친 한나라가 다시 중국을 통일하였다.

당시 경쟁자였던 초나라의 항우가 귀족 출신인 것에 비해

한나라 태조 유방은 패현의 건달 출신이었다.

 

역성 혁명은 그 이후,

또 다른 피바람을 일으키는 많은 반란을 가져온다.

그래서 사용하는 여론전이 전정권의 정통성 부재이다.

 

여불위의 애첩을 부인으로 맞이한,

장양왕의 아들인 진시황 조정을

장양왕이 아닌 여불의 아들인 것으로 꾸민다.

이미 임신한 조희가 장양왕에게 보내진 것으로..

그래서 조정이 아닌 여정이고,

이 때부터 정통성이 없는 것이니,

유씨가 황제가 되는 것이 문제가 없다는 식이다.


[ 신돈 ]

 

다시 고려로 왔다.

 

공민왕과 함께 개혁정치를 주도한 신돈이라는 승려가 있다.

(당시 승려는 고위직으로 봐야 한다.)

 

고려말 많은 폐단이 있었다.

고속도로를 휘게 하거나, 주가 조작을 한 건 아니었지만,

백성들을 보살피고 다스려야할 고위관직들은

법인카드로 빵사러 다니기 바빴고,

마음의 평안과 휴식처를 제공해야할 종교계인 불교에서는,

회원제 가입으로 백성들의 재산을 빼았고 노비로 부리고 있었다.

 

권문세족의 추천으로, 공민왕에게 등용된

신돈은 기득권의 상대세력으로,

성리학에 기반을 두고 있던 유학자들을 지원하였고,

이들이 신진사대부이다.

 

신돈이 권문세족들의 이득에 반하는 개혁정치를 계속 펼치자

범죄자로 몰아 유배지로 보내져 결국 처형당해 죽고,

고려말의 개혁은 이렇게 종지부를 찍는다.


[ 신우왕 ]

 

공민왕과 노국대장공주 사이에는 아들이 없었다.

공민왕이 어디선가 유치원생을 데리고 와서,

자신의 아들이라고 한다.

이미 죽은 궁인 한씨인 엄마대신

할머니가 맡아 키우게 된다.

 

성리학을 전공으로 공부하면서,

중국 역사를 교양으로 수강했던

신진사대부가 이를 놓칠리 없었다.

 

우왕을 탄핵시킨 후, 창왕을 왕으로 올린 후

왕씨에서 이씨로 역성혁명을 준비하면서,

전정권의 정통성 부재라는 여론전을 시작한다.

 

우왕이 궁인 한씨의 아들이 아니라,

신돈의 시녀였던 반야의 아들이기에,

왕씨 성을 가진 우왕이 아닌

신씨 성을 가진 우왕, 즉 신우왕 이고,

이 때부터 고려의 정통성은 제로음료가 되었다는

진시황 스토리를 고려 드라마로 만들어낸다.

 

그리고 조선왕조 500년 동안

우왕을 신우라고 일컫고,

우리 족보에서도 신우라고 기록되어진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