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관인들의 지위와 신분을 나타내는 공적질서체계
품 계 | 공민왕 18년 | 태조 1년 | 할아버지 |
정일품 | 특진보국삼중대광(特進輔國三重大匡) | 특진보국숭록대부(特進輔國崇祿大夫) | |
특진삼중대광(特進三重大匡) | 보국숭록대부(輔國崇祿大夫) | ||
종일품 | 삼중대광(三重大匡) | 숭록대부(崇祿大夫) | |
중대광(重大匡) | 숭정대부(崇政大夫) | ||
정이품 | 광록대부(光祿大夫) | 정헌대부(正憲大夫) | |
숭록대부(崇祿大夫) | 자헌대부(資憲大夫) | ||
종이품 | 영록대부(榮祿大夫) | 가정대부(嘉靖大夫) | 중조 조신혁(봉익대부) |
자덕대부(資德大夫) | 가선대부(嘉善大夫) | ||
정삼품 | 정의대부(正議大夫) | 통정대부(通政大夫) | 4세 조계평(통정대부, 증 예조참의) 5세 조지부(증 공조참의) 12세 조정현(증 이조참의) |
통의대부(通議大夫) | 통훈대부(通訓大夫) | ||
종삼품 | 대중대부(大中大夫) | 중직대부(中直大夫) | |
중정대부(中正大夫) | 중훈대부(中訓大夫) | ||
정사품 | 중산대부(中散大夫) 봉상대부(奉常大夫) |
봉정대부(奉正大夫) | 2세 조천옥(봉상대부) |
중의대부(中議大夫) | 봉렬대부(奉列大夫) | ||
종사품 | 조산대부(朝散大夫) | 조산대부(朝散大夫) | |
조렬대부(朝列大夫) | 조봉대부(朝奉大夫) | 3세 조우(조봉대부) | |
정오품 | 조의랑(朝議郞) | 통덕랑(通德郞) | 11세 조거 |
통선랑(通善郞) | |||
종오품 | 조봉랑(朝奉郞) | 봉직랑(奉直郞) | 10세 조영서(금부도사) |
봉훈랑(奉訓郞) | |||
정육품 | 조청랑(朝請郞) | 승의랑(承議郞) | 6세 조세필(사간원정언) |
승훈랑(承訓郞) | |||
종육품 | 선덕랑(宣德郞) | 선교랑(宣敎郞) | |
선무랑(宣務郞) | 9세 조여함(5위 부사과) | ||
정칠품 | 수직랑(修職郞) | 무공랑(務功郞) | |
계공랑(啓功郞) | |||
정팔품 | 승사랑(承事郞) | 통사랑(通仕郞) | |
승사랑(承仕郞) | |||
정구품 | 등사랑(登仕郞) | 종사랑(從仕郞) | |
장사랑(將仕郞) |
참고 :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tem/E0019499
문산계(文散階)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관인들의 지위와 신분을 나타내는 공적질서체계 였다. 이러한 제도를 중국으로부터 도입해 정식으로 채택한 것은 995년(성종 14)의 일이다. 그러나 이전에도 이러한 기능을 하는 관계(官階)가 있
encykorea.aks.ac.kr
조선 중기 이후로는 관직과는 거리가 멀었...
'풍양조씨 평장사공파' 카테고리의 다른 글
중추원 (0) | 2025.03.19 |
---|---|
재오추칠 (0) | 2025.03.08 |
중조(1세조) 조신혁 (0) | 2025.02.22 |
가계도 (0) | 2025.02.21 |
독정(獨井) (3) | 2025.02.20 |